본문 바로가기

업데이트/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4. robots.txt

어제 했던 네이버 검색등록에서 url 실시간 조회결과를 보았을 때

robots.txt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진단결과가 나왔다.

https://blacknoir.tistory.com/4

 

티스토리 블로그 #3. 네이버 검색등록

구글최적화는 등록을 마쳤고, 네이버에 검색등록을 해보자. (말투가 혼잣말과 알려주는 방식과 조금씩 섞인 혼종이다. 블로그 글이 낯설어서 그러니 이해 바랍니다.) 구글최적화를 위한 방법은 아래 링크 글을 참..

blacknoir.tistory.com

그래서 그게 뭔데 십덕아

내 얕은 지식으로는 대충 검색 로봇들이 내 블로그를 찾아서 읽어볼 수 있는 검색도구가 없다는 뜻으로 밖엔 설명이 안 된다. 그들만의 길을 터줘야 한다는 것.

 

그 길을 터보려고 한다.

 

 먼저 네이버 웹마스터도구를 킨다.

https://searchadvisor.naver.com/console/board

 

-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searchadvisor.naver.com

어제 갓 등록한 블로그 url이 있다.

url을 클릭하면 사이트 관리 창으로 이동한다.

검증-robots.txt에 들어가자.

 

robots.txt를 생성하자.

네이버 검색로봇만이 아니라 구글 등 타 포털에서도 노출이 되려면 "모든 검색로봇이" 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다운로드를 하고,

티스토리 설정에 스킨 편집 메뉴로 들어가자.

 

html 편집에 들어가면 파일 업로드 창이 있다.

추가를 누르고,

방금 다운받은 txt 파일을 넣어준 뒤 적용 버튼을 누른다.

 

 

 

그리고 티스토리의 플러그인 기능을 이용하자.

 

블로그 관리 메뉴의 플러그인에 들어가면 메타 태그 등록이 있다.

이걸 실행하자.

 

이것입니다.

여기에 코드를 입력하자.

<meta name = "Robots" content="index,follow">
<meta name = "Yeti" content="index,follow">

네이버 로봇은 귀엽게도 이름이 예티다.

 

tmi는 짧게 하고 적용을 눌러준다.

 

다시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들어가 robots.txt 간단 생성 위에 있던 로봇룰 검증의 수집요청을 누른다.

되었다고 한다.

 수집 disallaw 된 것은 /owner, /manage, /admin, /oldadmin, /search, /m/search, /m/admin, /like가 있다. 단어에서 보면 대강 감이 오듯 관리자 페이지들이다. 

 

allow 된 /는 /뒤에 붙는 게시글페이지의 숫자들(/1, /2, /3...)을 수집하라는 뜻이다.

 

이해가 안 되거나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면 수집 가능 여부를 확인해보자.

대충 가장 최근에 쓴 게시글 링크를 넣어봤다.

그게 4번이라니 내 블로그 너무 빈약한 것...

 

아무튼 수집이 가능하다고 한다.

그럼 똑같이 스킨 수정 링크를 넣어보자.

불가능하다고 한다. ㅇㅋ

 

자 이제 마지막으로 스스로에 대한 불신을 지우기 위해 사이트 간단 체크를 다시 한 번 해보자.

 

올 그린 편-안

로봇 메타 태그 작동 끝!